티스토리 뷰

처음

int index = 0;
int target = queue.poll();
list.add(1);

while(queue.size() >= 1){
    int next = queue.peek();

    if(target >= next){
        list.set(index, list.get(index)+1);
        queue.remove();
    }
    else{
        index += 1;
        list.add(index, 1);
        target = next;
        queue.remove();
    }
}

 

처음 코드를 짤 때  큐에 모든  작업을 추가한 뒤

위와 같이 poll()과 peek()를 사용하여 처음과 다음을 비교하면서 진행했었는데

이렇게 하면 같이 배포 될 수 있는 작업을 구하기 위해 불필요한 변수와 연산이 생겨났다.

 

 

자바 코드

import java.util.*;

class Solution {
    public int[] solution(int[] progresses, int[] speeds) {
        Queue<Integer> queue = new LinkedList<>(); 
        ArrayList<Integer> list = new ArrayList<>();
        
        for(int i=0; i<progresses.length; i++){
            double re = (100-progresses[i])/(double) speeds[i];
            int day = (int) Math.ceil(re);

            if(!queue.isEmpty() && queue.peek() < day){
                list.add(queue.size());
                queue.clear();
            }
            queue.add(day);
        }
        list.add(queue.size());

        int[] answer = new int[list.size()];
        for(int i=0; i<list.size(); i++){
            answer[i] = list.get(i);
        }
        
        return answer;
    }
}

 

ArrayList를 사용하는 이유는 크기가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이고 이를 다시 int 배열로 바꿔준다.

Math.ceil() 함수를 통해 올림을 하여 해당하는 날짜를 계산한다.

 

큐의 헤드 값이 해당 날짜보다 작다면 같이 배포될 수 없으므로 list에 값을 추가하고 큐를 비워준다.

이후 큐에 해당 날짜를 다시 더한다.

 

핵심은 list에 큐의 사이즈만큼 더해줌으로써  같이 배포될 수 있는 작업을 계산하는 것이다.

 

 


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8   »
1 2
3 4 5 6 7 8 9
10 11 12 13 14 15 16
17 18 19 20 21 22 23
24 25 26 27 28 29 30
31
글 보관함